본문 바로가기
주식/국내주식

카카오 주가 전망 - 카카오페이 카카오뱅크 상장으로 재평가

by 알고본다 2021. 4. 23.
반응형

카카오 주가 전망 - 카카오페이 카카오 뱅크 상장으로 재평가

  시가총액(예상) 상장 전망
카카오페이 10조 올 상반기
카카오뱅크 20조 올 하반기
카카오엔터테인먼트 7조 올 하반기 혹은 내년 상반기
카카오모빌리티 7조 내년
야나두 1조 내년

카카오가 올해 공모주 시장을 뒤흔들고 있습니다. 

 

주요 계열사들의 상장을 앞두고 있어서 관련 회사들의 주가가 출렁이고 있습니다. 

 

카카오 계열사 중에서 상장이 거론되고 있는 곳은

 

카카오페이, 카카오뱅크, 카카오 엔터테인먼트, 카카오 모빌리티, 야나두 등입니다.

 

이 중에서 카카오 모빌리티를 제외한 나머지 4곳은 이미 상장 절차를 주관하는 증권사까지 선정했습니다. 

 

카카오페이의 경우는 올해 상반기중에 기업공개(IPO)에 나설 것으로 보입니다. 

 

상장을 앞둔 카카오 계열사 5곳의 시총을 합치면 약 45조 원으로 카카오본주(42조)와

 

카카오 게임즈(3조 7천억)까지 합치면 그룹 전체의 시가총액이 90조 원에 육박할 것으로 보입니다. 

 

이는 네이버의 62조원을 뛰어넘는 수치로 인터넷 업계의 최강자가 뒤바뀌게 되는 것입니다

 

카카오썸네일

또한 두나무 나스닥 상장과 온라인 이커머스 업체인 지그재그를 인수하는 등

 

적극적인 투자행보로 추가적인 성장동력도 가지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구체적으로 각 계열사들의 매출액을 살펴보겠습니다. 


카카오 그룹사별 성장성

1. 광고 (카카오톡+포털) 사업 부분

카카오톡 광고 매출 추이

카카오톡 광고와 다음포털 광고를 합산한 카카오의 광고 매출은 20년 1조 원에서 23년 2조 원으로 2배 가까이 성장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이는 연평균 23.2%에 달하는 고성장입니다. 

 

이는 데이터 분석을 통한 사용자별 맞춤 광고로 클릭률이 개선되었고 

 

최근 코로나19로 인해서 트래픽 사용량이 증가되어 온라인 광고 단가가 인상되었기 때문입니다. 

 

구글 및 텐센트 광고 매출 추이

글로벌 포털기업들도 23년까지 매년 17%가량 성장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카카오가 글로벌 동종 업계 대비 6% 정도 연평균 성장률이 높기 때문에

 

가치평가에 있어서 30%정도 프리미엄을 받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카카오 광고사업부문의 기업가치는 이전 11.7조 원에서 15.7조 원으로 34% 상향됩니다. 

2. 카카오커머스

국내 쇼핑 어플 MAU(월간 활성 사용자)

20년 카카오커머스의 거래액은 약 4.2조 원이며 국내 이커머스 시장 내 점유율 2.7%입니다. 

 

또한 국내 쇼핑 어플 중에서 MAU(월간 활성 사용자)가 2100만명으로 가장 많은 수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거래액 대비 매출

카카오의 커머스 사업부분은 아직 국내 상위 업체들 대비해서 거래액 자체가 크지는 않지만

 

카카오톡 플랫폼을 기반으로 사업을 영위하기 때문에 이익률, 향후 사업 확장성 측면에서 경쟁우위가 있습니다. 

 

주요 이커머스 기업의 20년 영업이익/거래액비율

이에 따라서 2020년 카카오 커머스의 영업이익/거래액 비율은 3.8%로 국내 및 글로벌 주요 이커머스 사업자와 비교해봐도 가장 높습니다. 

 

2020년 카카오커머스의 영업이익은 110% 증가하여 1595억 원을 기록하였습니다. 

 

향후에도 라이브커머스, 톡딜, 명품 선물하기가 고성장하면서 국내 및 글로벌 Peer 대비해서 우수한 수익성을 유지할 것으로 보입니다. 

 

이커머스에서 의복 침투율과 지그재그 거래액 추이 

카카오 커머스는 지난 7월에 회원수 2천만 명을 보유한 패션 플랫폼 기업 '지그재그'를 인수 합병하였습니다. 

 

의류분야는 이커머스에서 침투율이 아직까지 30%로 낮아서 앞으로의 성장성이 큰 부분입니다. 

 

지그재그는 향우 카카오커머스와의 시너지를 통해서 2022년까지 연간 20%가 넘는 성장을 할 것으로 보입니다. 

 

이에 따라 카카오 커머스의 기업가치는 이전 4.5조 원에서 7.3조 원으로 60% 정도 상향조정될 수 있습니다. 

3. 카카오 모빌리티

전국택시 시장 규모 추이 & 카카오T 블루 운영대수 추이 예상

2020년 택시 시장의 규모는 코로나 19의 영향으로 5% 정도 감소하였습니다. 

 

하지만 백신을 통한 일상화로의 복귀가 가속화되면서 내년에는 코로나 이전 수준으로 회복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카카오 T블루는 카카오 모빌리티가 2019년 출시한 승차거부 없는 프리미엄 택시 서비스입니다. 

 

작년 말 기준으로 16,000대를 운용하고 있으며 올해 말에는 3만대로 2배가량 늘어날 것입니다. 

 

전국 택시 일평균 매출액 추이 & 카카오 T 블루 총 운임 및 택시 시장 점유율 추이 추정

전국 택시 일 평균 매출액을 통해 2020년 카카오 T 블루 택시의 총운임을 계산한 결과,

 

작년 카카오 T 블루 택시는 총 5천억 원의 운임을 발생시킨 것으로 추정됩니다. 

 

이는 국내 택시 시장 내 4.4%의 점유율입니다. 

 

카카오 T블루 운영대수가 증가할 경우 22년에는 16.5%까지 점유율이 상승할 것으로 보입니다. 

 

카카오 택시 매출추이, 카카오택시 멤버십 매출 추이

또한 지난 3월 택시 기사를 대상으로 출시한 유료 멤버심 상품은 콜 수요가 많은 지역을 알려주는 기능, 원하는 목적지 콜을 확인해 주는 기능 등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해당 멤버십을 통해서 올해는 288억 원의 매출을 기록할 예정이며 23년까지 1270억 원으로 상승할 것입니다. 

 

이에 따라 카카오 모빌리티의 기업가치는 4조 원에서 4.8조 원으로 20% 상향 가능합니다. 

4. 두나무 투자지 분가치

업비트 거래대금 및 두나무 실적 추정

업비트의 일평균 거래대금에 수수료를 곱하게 되면 총매출액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 

 

여기에 비트코인 거래소의 평균적인 순이익률인 40%를 대입해본 결과 두 나무의 순이익은 2021년에는 7300억원을 기록할 전망입니다. 

 

카카오 두나무 투자지분가치 산정

두나무의 순이익에 글로벌 동종업계인 코인베이스의 PER을 곱해보면 두나무의 시가총액을 구할 수 있습니다. 

 

이는 26.3조 원으로 여기에 카카오가 보유한 지분율을 곱해보면 5.6조 원으로 계산됩니다.


카카오 매출동향

카카오 연간매출액

카카오의 2021년 매출은 5조 9천억 원으로 전망됩니다. 

 

이는 전년대비 44%나 상승한 수치입니다. 

 

카카오 사업부문별 연간 매출 증가액

특히 매출 성장의 35.9%가 비즈 보드와 커머스가 포함된 톡 비즈에서 발생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페이와 모빌리티가 포함된 신사업 부문은 2021년 94% 성장해 총 1조 695억 원의 매출을 기록할 것으로 보입니다. 

 

카카오 분기별 매출 성장률

매출액은 내년까지 연평균으로 20% 넘게 꾸준히 상승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또한 수익성이 좋은 광고와 커머스가 고성장하고 페이, 모빌리티 등 신사업의 영업적자가 축소되면서

 

영업이익의 개선세는 2023년까지 지속될 것으로 보입니다. 

 

2021년 영업이익은 8천억 원으로 전년대비 76% 성장을 기대하며 영업이익률은 2.4% 상승한 13.4%로 예상됩니다.


목표주가 및 결론

현재주가

주가는 최근 액면분할을 기점으로 크게 상승하여 118,000원을 기록 중입니다. 

 

액면분할로 가격이 1/5로 줄어들어서 거래량이 대폭 상승하였습니다. 

 

주가는 작년 5월 4일에 36,129원으로 현재까지 3배가량 상승하였습니다. 

 

시가총액은 52조 원으로 코스피 7위 기업입니다. 

 

외국인 기관 순매매 거래량

최근 4 거래일 동안 외국인과 기관 모두 매도세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최근 너무 급격하게 상승하여 차익실현을 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외국인의 보유율은 33.61%입니다. 

 

목표주가

증권사 평균 목표주가는 13만 5천 원으로 현재 가격 대비 15% 정도 상승여력이 있습니다. 

 

주요 계열사들의 상장 이벤트와 카카오 커머스의 매출액 상승으로 실적이 나날이 좋아지고 있는 카카오입니다. 

 

향후 실적보고에서 기대하던 매출이 현실화된다면 앞으로도 계속해서 상승추세를 유지할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본 투자 분석은 개인적인 의견이며 정보에는 오차가 존재할 수 있습니다. 참고 자료로만 활용 부탁드립니다. 
 

LG전자 주가 전망 - 가전실적 강세와 전장부분 턴어라운드

LG전자 주가 전망 - 가전 실적 강세와 전장 부분 턴어라운드 LG전자가 최근 휴대폰 사업부분을 과감하게 철수하고 전장 부분에 적극적으로 투자하면서 본격적인 체질개선에 들어갔습니다. 지

codingtaco.tistory.com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