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국내주식

HMM 노사 임금 협상 타결! 주가 전망 순항길 열렸다

by 알고본다 2021. 1. 2.
반응형

최근 코로나 속에서도 실적 호황을 맞아서 주가가 급등하고 있는 주식이 있죠

 

바로 HMM입니다. 연초 2천 원 초반에서 현재 1만 4천 원 정도까지 올라왔습니다.

 

무려 700%의 상승률입니다. 

 

하지만 최근 노조의 파업여파로 박스권에 갇혀있습니다. 

 

어제 막 임급협상이 타결되었다는 희소식이 들려왔습니다.

 

앞으로 HMM의 주가가 어떻게 될지 분석해보겠습니다. 

 

HMM 노사합의됨


10년간의 암울했던 과거 

 

10년간 월봉 

 

위의 지난 10년간 월봉을 보시면 떡락이라는 단어가 떠오릅니다. 

 

30만 원이던 주식이 2천 원까지 떨어졌으니까요. 

 

이러한 하락의 원인으로는 2008년 때 찾아온 금융위기 이후로 

 

해상 물동량이 급감하면서 공급과잉이 이어졌고

 

그 결과 운임이 하락했기 때문입니다. 

 

연간실적

 

그에 따라 영업적자는 계속해서 불어나게 됐고 부채비율이 500%가 넘게 치솟았습니다.

 

이것은 HMM뿐만 아니라 업종 1위였던 한진해운도 마찬가지였습니다.  

 

한진해운 파산

 

그 결과 2016년에 국내 해운사 1위 업체가 한진해운이 파산절차에 들어가게 됩니다. 

 

당시 세계시장 점유율 3%였던 기업인데 안타깝게 되었죠.


해운업 재건 5개년

 

계획

 

더 이상의 해운업계의 침체를 두고 볼 수 없었던 정부는 5년짜리 재건 계획을 실행하게 됩니다. 

 

그중 핵심은 아래의 3가지입니다. 

 

1. 안정적인 화물 물량 확보

 

2. 저비용고효율의 석박 확충

 

3. 선사의 경영안정화

 

위의 세 가지 사항을 기준으로 기업들에게 도움을 줘서 해운업을 살리려고 노력한 것이죠.


긍정적으로 변한 시장 상황

 

컨테이너 부족 

코로나로 인해서 컨테이너 제조의 98%를 맡고 있는 중국의 공장들이 가동이 중지되었습니다. 

 

그 결과, 생산량의 36%가 감소하여 컨테이너 공급이 부족해지게 되죠.

 

해운업 기업들에게는 호재로 작용하였습니다.

 

컨테이너 운임비 상승

또한 코로나 때문엔 항구에 묶여있던 물동량들이 풀리기 시작하면서 

 

운임비의 상승으로 이어졌습니다. 

 

이는 내년도 미국의 경기부양정책 효과가 더해져서 

 

상승추세는 지속될 것으로 보입니다.


흑자전환 및 내년 전망

 

HMM흑자전환

 

그 결과, HMM은 10년만에 분기 흑자를 달성하였습니다. 

 

증권사 매수의견 

 

증권사들은 내년도 HMM의 목표주가를 상향하고 있습니다. 

 

최대 18,500원까지 제시하고 있네요. 

 

조정 박스권에 갖혀있는 HMM의 주가 

위의 현재 HMM의 주가를 보시면

 

지지선 12,000원, 저항선 14,500원을 기준으로 

 

조정상태에 들어가 있습니다. 

 

최근에 저항선에서 밀려서 다시 도전하는 모양새입니다. 

 

시원하게 돌파해서 해운업이 다시 강세장에 들어가면 좋겠네요. 

 

감사합니다.


기업분석은 개인적인 의견일뿐 투자권유가 아닙니다. 투자정보는 참고용으로만 사용해주세요.

 

반응형

댓글